KNAPS


韓 어나프라주 · 美 저나백스, 비중독 치료 새 시대 여나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 및 중독의 사회적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상황이며, 통증 치료의 새로운 옵션을 모색하는 것은 뜨거운 감자로 여겨져 왔다. 최근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산염)’와 ‘저나백스(Journavx, 성분명 수제트리진)’의 등장은 효과적인 비중독성 치료를 가능케 할 것으로 전망한다.
 
 먼저 마약성 진통제 오남용 현 실태를 이해하기 위해, 진통제의 종류부터 살펴보자. 
 
 진통제는 크게 비마약성 진통제와 마약성 진통제로 나뉜다. 기존 비마약성 진통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다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이하 NSAIDs)로 나뉜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염증반응을 비롯한 여러 생리작용을 유도하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이하 PG)을 억제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중추에서 PG 생성에 관여하는 cyclooxygenase(이하 COX)경로 중 COX-2 경로를 간접적으로 억제한다. 한편, NSAIDs는 COX-1과 COX-2경로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PG 생성을 억제한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의존성과 내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정 용량 이상에서는 진통 효과가 상승하지 않고 부작용만 증가하는 천정효과가 나타나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최대 투여량으로도 통증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다.
 
 마약성 진통제에는 모르핀(morphine), 펜타닐(fentanyl), 옥시코돈(oxycodone), 하이드로몰폰(hydromorphone) 등이 있고, 암성 통증에는 주로 코데인(codeine), 트라마돌(tramadol)이 사용된다. 
 
 마약성 진통제는 비마약성 진통제와 달리 천정효과가 없고 진통 효과가 강력하다. ‘WHO 3단계 진통제 사다리’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에서 올바른 약물을 적절한 용량으로 투여한다면 마약 중독의 위험은 없다. 그러나 마약에 중독되지 않더라도 많은 환자군은 내성과 의존성 문제로 괴로움을 겪는다. 마약성 진통제는 심각한 변비, 통각 과민, 호흡 억제 증상 등을 유발한다.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lay1/S1T381C382/contents.do

 
 
 또한 암암리에 일부 의료기관에서 마약성 진통제가 불법적으로 처방되며 비환자군에게 마약이 유통되고, 마약 투약 사범 증가 등의 소지가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의사가 여러 병원을 이직하며 20만 정의 옥시콘틴(성분명 옥시코돈, oxycodone)을 셀프처방한 사례도 있었다. 가장 심각한 마약 문제를 겪고 있는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자. 버텍스파마슈티컬스(Vertex Pharmaceuticals, 이하 버텍스)의 발표에 따르면, 매년 중등도에서 중증 급성 통증에 대한 약물을 처방받는 미국 내 8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 중 약 절반이 오피오이드를 투여받고 있으며, 약 85,000명이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를 앓고 있다.  트럼프 1기 시절에는 오피오이드 남용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펜타닐 중독 치료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기도 했다. 이렇듯 마약류는 강력한 진통 효과를 낼 수 있지만 많은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까다롭다.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아편유사체)의 오남용 및 중독의 사회적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하지만 중등도 이상의 통증 관리는 마약성 진통제에 거의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마약성 진통제만큼 강력한 효능을 가지면서도 내성 및 중독,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이 없는 진통제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현존하는 대표적인 비마약성 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과 NSAIDs는 출혈, 위장관 부작용, 간 및 신장 독성 등의 부작용 문제와 더불어 진통 효과의 한계로 오피오이드를 대체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통증 치료의 새로운 옵션이 필요한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산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승인과 ‘저나백스(Journavx, 성분명 수제트리진)’의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이하 FDA) 승인은 상당히 주목할 만하다.
 
 비보존제약의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산염)’는 2024년 12월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로써 어나프라주는 국내 38번째 신약의 주인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번 식약처의 허가는 혁신 신약으로 비마약성 진통제가 승인받은 사례가 국내외로 전무한 상황 속에서 비보존의 자체 기술력으로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개발에 성공하였다는 점에서 획기적이고 고무적인 일이다.
 
 어나프라주는 비마약성 진통제로서 모방 신약(Me too drug)이나 개량 신약(Best-in-class)과는 다르게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기전의 약물을 세계에서 최초로 선보인 ‘First-in-class’ 혁신 신약이다. 수술 후 통증에 주사제 형태로 쓰이며, 성인의 경우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을 위한 단기 요법으로 사용된다.
 
 비보존제약의 어나프라주 개발은 다중기작 약물(Polypharmacological Drug)에 근간을 두어, 중추신경계 질환과 같이 질환과 약물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중요한 질병에 대해서는 효능의 부재 또는 심각한 부작용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은 단일 타겟 약물의 한계점을 개선했다. 어나프라주는 멀티 타겟 작용기전으로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 동시에 통증신호를 차단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주성분 ‘VVZ-149(오피란제린)’은 통증의 생성과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글라이신 수송체 2형(GlyT2)과 세로토닌 수용체 2A 형(5HT2A)을 동시에 억제하여 시너지 효능을 발휘하며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모두에서 통증을 억제한다. 즉, 어나프라주는 기전이 다른 여러 약제를 같이 처방하는 복합진통 요법인 ‘Multimodal analgesia’가 가능하다.
 
 한편, 마약류 진통제만큼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중독 위험에서 자유로운 비오피오이드 진통제 신약 ‘저나백스(Journavx, 성분명 수제트리진)’ 역시 비중독성 치료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1월 31일(현지 시각),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버텍스의 신약 ‘저나백스(Journavx, 성분명 수제트리진)’를 새로운 유형의 급성 통증 치료제로 승인했다. 저나백스는 비마약성 통증 신호 억제제이자 20년 만에 처음으로 승인된 새로운 계열의 통증 치료제다. FDA는 버텍스가 실시한 임상3상의 결과를 토대로 저나백스를 승인했다. 해당 임상시험에서 저나백스는 위약에 비해 수술 후 통증을 상당 부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저나백스는 보통 단기적이고 수술이나 부상으로 인한 통증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약물로, 통증이 보통 중등도에서 심한 정도인 경우에 처방된다. 
 
 저나백스의 ‘안전성’은 그것의 기전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경구용 전압-게이트 나트륨 채널(NaV) 억제제로서, 이 치료제는 말초신경계의 신호 전달 경로를 표적으로 삼아 통증이 뇌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뇌가 아닌 말초신경계에서 통증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저나백스는 중독이 될 가능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임상 시험에서 저나백스의 부작용은 가려움증, 발진, 근육 경련,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제 혈중 농도 증가 등이 있으며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었다. 
 
 저나백스가 오피오이드에 대응하여 갖는 또 다른 차별점이자 우세한 점은 ‘가격’이다. 버텍스는 50mg 용량의 저나백스를 15.50달러에 판매할 예정이며, 2주 코스의 경우 420달러에 판매될 예정이다. 윌리엄 블레어 애널리스트 마일스 민터(Myles Minter) 박사는 이 약의 가격이 ICER의 비용 효과성 추정치의 절반 수준이지만, 제네릭 오피오이드의 대략적인 0.50달러 가격을 훨씬 초과한다고 지적했다.
 
 심각한 오남용과 중독 위험에도 불구하고 대체할 만한 약이 존재하지 않아 여전히 마약성 진통제가 급성통증 치료의 주축으로 남아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비마약성 진통제 국내 신약 ‘어나프라주’와 미국 신약 ‘저나백스’는 통증 시장에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며 세계 보건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orea's Anapraz and the U.S.'s Journavx:

Ushering in a New Era of Non-Addictive Treatment

 




 The misuse and addiction of opioid painkillers have become a severe global issue, making the search for new pain treatment options a pressing concern. Recently, the emergence of new non-opioid painkillers, 'Anapraz' (active ingredient: Opiranserin Salts) and 'Journavx' (active ingredient: Suzetrizin), is expected to enable effective non-addictive treatment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opioid painkiller misuse, it is essential to first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painkillers.
 
 Painkiller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non-opioid and opioid analgesics. Traditional non-opioid painkillers are further divided into acetaminophe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based on their mechanisms of action. Non-opioid painkillers relieve pain by inhibiting prostaglandins (PG), which are substances involved in inflammation and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s. Acetaminophen indirectly inhibits the COX-2 pathway of cyclooxygenase (COX), an enzyme involved in PG produ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contrast, NSAIDs directly suppress both COX-1 and COX-2 pathways, inhibiting PG production.
 
 Non-opioid painkillers have the advantage of lacking dependency and tolerance. However, they also have a ceiling effect, meaning that beyond a certain dosage, increasing the amount does not enhance pain relief but only increases side effects. Thus, when pain cannot be controlled with the maximum dose, opioid painkillers are used.
 
 Opioid painkillers include morphine, fentanyl, oxycodone, and hydromorphone, while codeine and tramadol are commonly used for cancer pain management.
 
 Unlike non-opioid painkillers, opioid analgesics do not have a ceiling effect and provide strong pain relief. If properly prescribed at appropriate doses following the WHO three-step analgesic ladder, the risk of opioid addiction can be minimized. However, even if patients do not develop addiction, many suffer from tolerance and dependence issues. Opioid painkillers can cause severe side effects, including constipation, hyperalgesia, and respiratory depression.
 

Source: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https://www.cancer.go.kr/lay1/S1T381C382/contents.do)

 
 Additionally, some medical institutions have been found to illegally prescribe opioid painkillers, distributing them to non-patient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drug abuse cases. In South Korea, between 2021 and 2023, there was a case where a doctor self-prescribed 200,000 oxycontin pills (active ingredient: oxycodone) while moving between multiple hospitals. The situation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most severe opioid crisis, is even more alarming. According to Vertex Pharmaceuticals, more than 80 million Americans receive prescriptions for moderate to severe acute pain each year, with nearly half being given opioids. Moreover, approximately 85,000 Americans suffer from opioid use disorder. During Trump's first term, the U.S. declared an opioid abuse emergency, allocating significant budgets to fentanyl addiction treatment. Although opioids are highly effective in pain management, their high potential for abuse and addiction makes their use highly restrictive.
 
 While opioid misuse and addiction are severe global problems, moderate to severe pain management still largely depends on opioid analgesics. This is due to the absence of painkillers that are as effective as opioids while avoiding tolerance, addiction, and respiratory depression.
 
 Furthermore, widely used non-opioid painkillers such as acetaminophen and NSAIDs have limitations in replacing opioids due to their side effects, including gastrointestinal bleeding, kidney and liver toxicity, and limited pain relief effects.
 
 In response to this urgent need for new pain treatment options, the recent approvals of the non-opioid painkillers ‘Anapraz’ by South Korea’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nd ‘Journavx’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Vivobzon Pharmaceutical’s non-opioid painkiller, ‘Anapraz’ (Opiranserin Salts), received product approval from the MFDS on December 12, 2024. With this approval, Anapraz has become the 38th new drug approved in South Korea. The MFDS’s approval is groundbreaking and encouraging, as it marks the first-ever approval of an innovative non-opioid analgesic developed independently by Vivobzon.
 
 Anapraz is classified as a ‘First-in-Class’ innovative new drug, distinguishing itself from ‘Me Too’ drugs and ‘Best-in-Class’ improved drugs. It is the world's first painkiller developed with a completely new mechanism of action. Administered as an injectable form for postoperative pain, it is used as a short-term therapy for adults experiencing moderate to severe acute postoperative pain.
 
 Vivobzon Pharmaceutical’s development of Anapraz is based on polypharmacology,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single-target drugs that often fail to deliver efficacy or present severe side effects in complex diseases such as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Anapraz blocks pain signals in both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through its multi-target mechanism. Its active ingredient, ‘VVZ-149 (Opiranserin),’ simultaneously inhibits GlyT2 (Glycine Transporter Type 2) and 5HT2A (Serotonin Receptor 2A), which are involved in pain generation and signal transmission. This synergistic effect suppresses pain across both nervous systems, making Anapraz suitable for multimodal analgesia, a pain treatment approach that combines multiple pain-relief methods.
 
 Meanwhile, the newly approved non-opioid painkiller ‘Journavx’ (Suzetrizin) in the U.S. is also expected to usher in a new era of non-addictive treatment.
 
 On January 31, 2025 (local time), the FDA approved Vertex’s new drug ‘Journavx’ as a novel type of acute pain treatment. Journavx is the first newly approved painkiller in 20 years within its category. The FDA based its approval on results from Phase 3 clinical trials conducted by Vertex, which demonstrated that Journavx significantly reduced postoperative pain compared to a placebo. Journavx is intended for short-term use in adults with moderate to severe pain caused by surgery or injury.
 
 The ‘safety’ of Journavx is supported by its mechanism of action. As an oral voltage-gated sodium channel (NaV) inhibitor, it specifically targets pain signal pathways i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preventing pain signals from reaching the brain. By blocking pain signals at the peripheral level rather than in the brain, Journavx eliminates the risk of addiction. Clinical trials reported minor side effects such as itching, rash, muscle cramps, and increased blood creatine phosphokinase levels, which were generally mild.
 
 Another key advantage of Journavx over opioids is its ‘cost.’ Vertex plans to sell 50 mg doses of Journavx for $15.50 each, with a two-week course priced at $420. However, Dr. Myles Minter, an analyst at William Blair, pointed out that while this price is half of ICER’s cost-effectiveness estimate, it significantly exceeds the approximate $0.50 price of generic opioids.
 
 Given that opioid analgesics remain the primary treatment for acute pain despite their severe abuse and addiction risks, the introduction of the South Korean non-opioid painkiller ‘Anapraz’ and the U.S. non-opioid painkiller ‘Journavx’ offers new solutions for the pain management market, potentially making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healthcare and the economy.





 
 
 
< 출처 >


 
김수진, 「비보존제약,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 신약 품목허가 획득…국산 신약 38호 탄생」, 『BIOTIMES』, 2024.12.12 18:16,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737>.
 
김태일, 「세계 최초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 선보인 비보존제약...중증도 이상 통증 시장 획기적 변화」, 『팜뉴스』, 2024.12.19 13:48,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6047>.
 
비중독성 치료 새시대...FDA, 저나백스 승인」, 『약사공론』, 2025.02.03 05:50:08,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category=D&idx=256887>.
 
염현주, 「새로운 비마약성 진통제, 20년 만에 탄생∙∙∙美 FDA, ‘저나백스’ 승인」, 『BIOTIMES』, 2025.01.31 17:27,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455>.
 
유영규, 「마약성 진통제 20만 정 '셀프 처방'·하루 300정씩 복용 의사 집유」, 『SBS』, 2024.10.24 13:36,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1200178>.
 
「진통제의 종류」, 『국가암정보센터』,<https://www.cancer.go.kr/lay1/S1T381C382/contents.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