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한국과 외국의 약업계 이야기
[한˙일 협력 프로젝트] 한국과 일본의 약사의 역할
2020.09.209월 25일 세계 약사의 날을 맞이하여 저희 KNAPS (한국약학대학생연합)는 APS-Japan(일본약학대학생단체)과 함께 기사를 작성해보았습니다. 이번 기사를 통해 각 국에서 다양한 길로 뻗어나가는 약사의 진로와 직능에 대해 배워가는 기회를 가져보고자 합니다. 한국 약사의 역할 작성 : KNAPS 약국 약사 약국 약사는 '약사' 하면 생각나는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를 갖습니다. 국민들에게 약리학적 전문 지식을 전달하고 의약품 오남용을 방지함으로서, 이들은 공공보건의 최전선에서 일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국은 의약분업이 시행된 이후, 처방을 포함한 진료는 의사가, 의약품 조제 및 복약지도는 약사가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약물에 대한 전문 지식은 필수이며, 약국 약사는 약물 간 상호작용 검토,..
Pharmacy school syllabus differences, comparing USA and Korea
2017.03.26In 2009, South Korea changed most of its pharmacy schools to a 2+4 program from a 4 year program. Once students get into college, they prepare for a test that is equivalent to PCAT called PEET. Once their grades are sufficient enough and they have gone through interviews, they are accepted into the pharmacy school. The big picture of Korea’s pharmacy school syllabuses are very similar to the sta..
한국 약학대학 교과과정 및 실무실습체계
2017.03.25한국 약학대학 교과과정 및 실무실습체계 KNAPS문서국 이화여대 약학대학 오정은 한국 약학대학은 2009년을 기점으로 4년제에서 2+4년제로 개편되었다. 수능을 통해 대학에 입학하여 2년간 공부한 후, PEET(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를 통해 약학대학에 입학할 수 있다. 그 후, 4년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약사 국가고시에 합격하게 되면 약사 면허증 발급된다. 지금부터 약학대학 4년 동안 어떤 과목을 배우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전공 필수 과목] 현재 2+4년제가 도입 된지 6년밖에 되지 않아 전공필수 과목에 있어서 대학마다 교육과정 순서에는 차이가 있지만 큰 흐름은 같다. 다음의 표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의 전공과정 필수과목을 나타낸다. 예전 4년제 약학대학일 때와 비교해서 ‘약물치료학’의 학점이 대폭 확장되었..
한국, 일본, 미국의 레지던시 비교
2017.01.03한국, 일본, 미국의 레지던시의 비교 매년 미국 약대에서는 레지던시를 해서 전문약사가 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약사 직업 중 유명한 유형의 약사입니다. 미국과 다른 나라들의 레지던시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미국에서의 레지던시는 1년에서 2년입니다. 레지던시를 처음 시작하는 약사는 PGY1 (Postgraduate year 1) 이라고 부르며 첫 1년 동안은 병원에서 기본적인 실습을 합니다. 2년 차에는 PGY2 (Postgraduate year 2)라고 불립니다. 여기서 본인이 좋아하는 전공을 선택해서 그 전공을 위주로 실습을 하게 됩니다. 레지던시를 마친 약사들은 BCPS (Board Certified Pharmacy Specialist)라는 자격증에 응시할 수 있게 됩니다...
한국의 전문약사 현황
2017.01.03· 한국의 병원 약사의 분류 한국의 병원 약사는 크게 3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병원의 정규 약사로서 대부분의 조제업무를 담당하는 일반약사, 환자의 최적의 치료를 위해 임상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전문약사, 전문약사가 되기 전 해당 전공 분야에서 수련을 하는 전공약사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병원 약사는 반드시 전공약사로서 수련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의 시스템과는 조금 다른 한국의 전문약사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문약사 전문약사는 치료성과 및 환자의 건강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해당 전문 분야에 통달하고 약물요법에 관해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임상약사로 ‘전문약사제도 운영규정 제3조’에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약사로서 질환 전반에 대한 약물요법과 의약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