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APS

·의원 신분증 의무화약국은 어떻게 되나

 

1. 제도 도입 배경

 

많은 요양기관에서 건강보험 적용을 위해 별도의 본인확인 절차 없이 주민등록번호 등을 제출받아 진료 등을 수행해 왔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편리하였지만,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타인의 명의를 도용해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등 제도를 악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 최근 5년간 건강보험공단은 연평균 3.5만 건의 도용 사례를 적발하여 8억 원을 환수할 계획이다. 이는 도용이 명백한 경우만을 적발한 것으로, 실제 도용은 발표된 수치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2. 제도 상세 내용

 

이러한 부정수급(다른 사람 명의로 건강보험을 대여 혹은 도용) 사례를 예방하여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막고 약물 오남용과 마약류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요양기관에서 건강보험 적용 시 본인확인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법률 제19420)이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지난 520일부터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되었다.

앞으로 환자가 병·의원에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을 통한 본인 확인이 필수다. 본인 확인은 여권, 건강보험증, 장애인등록증 등 사진과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신분증 이외에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등 전자 서명 인증서나 네이버·카카오 간편인증 등의 본인 확인 서비스로도 가능하다. 다만 파란색의 신여권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기재돼 있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하며, 신분증을 촬영한 사진과 신분증 사본도 불가능하다. 만약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이 없는 경우에는 휴대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제시하면 된다.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진료비 전액을 환자 본인이 직접 부담해야 한다. 다만 14일 이내에 신분증과 진료비 영수증 등 기타 요양기관이 요구한 서류를 지참하여 재방문하면, 다시 건강보험이 적용된 금액으로 정산받을 수 있다.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나 같은 병·의원에서 6개월 이내 본인 여부를 확인한 기록이 있는 경우는 본인 확인 대상에서 제외되어 기존 방식처럼 주민등록번호만 제시하여도 진료가 가능하다. 또한 처방전으로 약국에서 약을 사는 경우나 응급환자, 거동 불편자, 중증장애인, 장기 요양자, 임산부 등도 본인 확인에서 제외된다.

해당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요양기관이 환자 본인 여부와 건강보험 자격 여부를 확인하지 않으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만약 요양기관이 본인확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의 신분증인 것을 인지하지 못하면 과태료 및 부당이득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환자가 건강보험 자격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 대여해 준 사람과 대여받은 사람 모두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3. 약국 포함 여부 논란

 

건강보험 급여 부정 수급 방지를 위한 본인확인 의무화가 시행되고 나서 병원뿐만 아니라 약국에서도 본인확인 의무화 여부에 대한 혼란이 빚어졌다. 실제로 약국 현장은 신분증을 준비한 환자들과 이를 안내하는 약사들로 분주한 모습이다.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기 전부터 언론에서는 뉴스 보도를 통해 앞으로 병의원에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도 많은 언론사에서오늘부터 병원, 약국 갈 때 신분증 필수... 파란 여권은 안돼와 같은 제목의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법적으로는 약국의 경우 처방전을 지참한 환자들에 한해 본인확인 의무가 면제된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왜 언론에서 병원과 약국 모두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는 기사가 작성되었으며 이러한 혼란이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

 병원과 함께 약국도 신분증이 필요하다는 착오가 생긴 이유는 본인확인 강화 제도 법조문에 적힌 대상이요양기관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양기관은 병의원과 함께 약국도 포함되어 있어 약국도 본인확인 의무화 대상이라는 착오가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언론 매체에서 약국도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새롭게 제정된 국민건강보험법 12조 제4항에 따르면 요양기관은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에게 요양급여를 실시하는 경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강보험증이나 신분증명서로 본인 여부 및 그 자격을 확인해야 한다. 여기서 혼란을 야기한 부분은 바로 예외 조항이다. 처방전에 따라 약국에서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를 포함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본인확인 의무화 대상에서 면제되는 것이 그 내용인데, 이 예외 조항이 원활하게 알려지지 않아 약국에서 약사와 환자 간 의사소통 및 효율적 일 처리에 방해를 받고 있다.

 물론, 약국에서 신분증이 필요한데 필요하지 않다고 알려지는 것보다는 나은 상황이지만, 평일 낮 시간 등 약국에 사람이 많이 몰리는 시간대에도 잘못된 정보로 인해 약사가 환자에게 신분증을 들고 오지 않아도 된다고 일일이 설명해야 하고, 환자의 입장에서도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신분증이 필요 없다는 말을 듣고 당황하거나 짜증을 내는 상황이 발생해 실랑이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언론사나 정부 부처인 법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등과 같이 관련 제도를 주관하는 기관에서 약국 예외 조항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Hospital ID mandatory…How does it apply to pharmacies?

 

1.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 order to apply health insurance, many nursing institutions have receive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nd conducted medical treatment without a separate identification procedure. This process was very convenient, but there have been continuous cases of abuse of the system, such as people who do not qualify for health insurance stealing other people's names to receive health insurance benefit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plans to recover 800 million won by detecting an average of 3.5 million theft cases per year. This is only the case where the theft is obvious, and the actual theft is estimated to be much higher than the announced figure.

 

2. Details of the system

 

In order to prevent such cases of illegal supply and demand (lending or stealing health insurance in the name of another person), to prevent leakage of health insurance finances and to prevent drug abuse and drug accidents, an amendment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ct No. 19420) was passed, which mandates identification when applying health insurance in nursing institutions. As a result, the 'reinforcing identification system for nursing institutions' has been in effect since May 20.

From now on, patients must verify their identity with an ID card, such as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or driver's license, to receive medical services covered by health insurance at hospitals and clinics. Besides ID cards with photo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like passports, health insurance cards, and disability certificates, identification can also be done through electronic signature certificates such as the joint certificate, financial certificate, or easy authentication services like Naver and Kakao. However, blue new passports cannot be used because the last digits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re not written, and photos or copies of identification cards cannot be used. If there is no identification card that can be used, patients can install and present a "Mobile Health Insurance Card" application on their mobile phone. Without presenting an ID, patients will have to pay the full cost of the medical service themselves because it is not covered by health insurance. However, if they revisit within 14 days with other documents requested by nursing institutions such as ID cards and receipts for medical expenses, they can be reimbursed the amount covered by health insurance.

Minors under the age of 19 or those who have a record of identifying themselves within six months at the same hospital or clinic are excluded from the identification and can be treated by presenting only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s usual. Additionally, those purchasing medication with a prescription at a pharmacy, emergency patients, people with mobility issues,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long-term care patients, and pregnant women are also exempt from identific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a fine of not more than 1 million won will be imposed if the nursing institution does not confirm whether the patient is the patient and whether he or she is eligible for health insurance. If the institution did verify the identity but failed to recognize that it is someone else's ID card, it will not impose fines and unfair gains. If a patient uses health insurance qualifications illegally, both the person who lent and the person who borrowed could face up to two years in prison or fines of up to 20 million KRW.

 

3. Controversy over the inclusion of pharmacies under the mandatory identification law

 

 After the mandatory identification to prevent illegal receipt of health insurance benefits was implemented, confusion arose not only in hospitals but also in pharmacies. In fact, the pharmacy site is busy with patients who have prepared ID cards and pharmacists who guide them.

 Even before the mandatory identification system was implemented, the media said through news reports that ID cards must be brought when visiting hospitals and clinics in the future. Even now, many media outlets are pouring out articles with titles such as 'Identification is required when you go to hospitals and pharmacies from today... No blue passports'. As mentioned earlier, it is true that pharmacies are legally exempt from the obligation to identify themselves only for patients with prescriptions. Then, why did the media write that both hospitals and pharmacies must bring ID cards, and what caused this confusion?

 The reason for the error that pharmacies and hospitals need identification cards is that the subject written in the provisions of the Act on the Reinforcement of Identification System is defined as a 'care institution'. Nursing institutions stipulated in the law include pharmacies along with hospitals and clinics, leading to an error that pharmacies are also subject to mandatory identification. For this reason, many media outlets have published articles that pharmacies must also bring identification cards.

 According to Article 12 (4) of the newly enacted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when providing medical care benefits to subscribers or dependents, nursing institutions must verify their identity and qualifications with a health insurance card or identification certificate, as prescribed by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art that caused the confusion is the exception clause. If there is a legitimate reason prescribed by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cluding the case of paying drugs at pharmacie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t is exempted from the mandatory identification of pharmacists and patients, but this exception clause is not smoothly known, which hinders communication and efficient work processing in pharmacies.

 Of course, it's better than being told that the pharmacy needs an ID card but doesn't,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pharmacist should explain to the patient that he doesn't have to bring his ID card to the patient due to misinformation even during the daytime on week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the exception clause of pharmacies by institutions in charge of related systems, such as the media, the Ministry of Legislation,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