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사 처방 동물의약품 확대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산업들도 미래 유망직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1인가구 증가, 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른 사회분위기의 변화로 국내 반려동물을 소지한 사람들의 수는 1000만명에 이르며, 관련 시장 규모는 6조원을 넘어선다. (통계청, 2019년기준) 동물병원 수도 계속해서 증가하여 2020년 3월 기준 전국에 4651개가 있다.
2013년, 동물의약분업 시행 후 동물의약품을 취급하는 동물약국이 생겨났다. 동물약국에서는 동물의 질환 예방과 치료에 필요한 동물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동물병원에 가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치료비용이 부담될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동물약국의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3월 기준 6000개가 넘는다.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장이 커지면서 이를 다루는 수의사와 동물약국 약사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문제의 핵심은 올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수의사 처방대상 동물용의약품 확대’에 대한 의견충돌이다.
2013년 8월, 동물의약분업을 시행하고 동물약국에서 동물의약품을 다룰 수는 있게 되었지만, 수의사가 병원에서 처방해야 약을 판매할 수 있는 ‘수의사 처방제도’ 또한 함께 도입되었다. 현재 전체 동물의약품 중 24.5%에 해당하는 품목이 수의사 처방전 없이는 판매할 수 없다. 수의사 측과 동물약국 약사 측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논란이 되는 품목은 반려동물 종합백신(DHPPi)이다. 이 품목은 2017년 수의사 처방대상 동물약품으로 포함하려다 여러 단체의 반대로 목록에서 빠진 바 있다. 현재는 동물병원 진료 없이 동물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2020년 4월 16일, 농림부는 ‘처방대상 동물의약품 확대’에 관련된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확대 품목에는 앞서 논의에서부터 반발이 있었던 반려견 4종 종합백신(DHPPi)과 이버멕틴 성분 심장사상충 예방약 등이 포함됐다. 행정예고대로라면 동물약국들에서 더 이상 백신 취급을 하지 못하며,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종합백신 접종을 위해 무조건 동물병원을 방문해야만 한다.
한국동물병원협회의 입장에 따르면, 현재 동물약국에서 판매하는 반려동물용 백신은 주사기를 이용해 동물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이므로, 수의사가 아닌 보호자가 약물을 투입하는 경우 부작용이 일어나 반려동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이 같은 행위는 ‘수의사법 제10조 무면허 진료 행위’에 해당돼 반려동물보호자가 위법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백신뿐만이 아니라 주사투약용 동물약품 전 품목을 수의사 처방대상약품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대한동물약국협회는 전국 반려동물보호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67%가 예방접종을 동물병원으로 한정하는데 반대했다며 개정안에 반발했다. 또, 응답자 79.5%가 동물의약품을 직접 구매해 투여한 경험이 있는데 직접 투여한 이유로는 ‘저렴한 비용’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동물약국에서는 백신 한 제품당 5000원에 구입할 수 있는 반면 동물병원에서는 진료비용 등이 추가되어 몇 배의 금액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의사의 처방약 독점권이 강화될 경우 이에 따른 보호자들의 부담 증가가 우려된다. 응답자의 54%는 부담이 증가하면 접종을 포기할 것이라는 답변을 하기도 했다.
정부관계자는 반려동물용 종합백신, 항생제 등이 이번 확대 품목으로 논의되고 있는 건 맞지만 아직 협의단계이기 때문에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또, 접종률 감소는 섣불리 단정할 수 없으며 중립적인 입장에서 전문 의료인 처방 없이 투여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위험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검토할 것이라며, 관련 전문 집단이 모여 전반적으로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Expansion of veterinary prescription drugs
As interest in pets has increased, related industries have been also evaluated as promising occupations in the future. The number of people in Korea who have pets has reached 10 million and the related market size exceeded 6 trillion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atmosphere of increasing in one-person household, declining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Statistics Korea, 2019) As the number of veterinary hospitals steadily increases, there are now 4651 veterinary hospitals in Korea. (March 2020)
In 2013, afte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drugs in animals, a veterinary pharmacy that handles medication for animals appeared. In veterinary pharmacies, we can purchase drugs necessary for the animals to prevent and treat diseases which can be managed when you are not able to visit veterinary hospital or if the cost of veterinary service is a heavy burden. The number of veterinary pharmacies has exploded, with more than 6,000 in March 2020.
As the pet healthcare market is becoming larger, veterinarians and veterinary pharmacists are currently at odds over a facing problem. The core of this conflict is about "expansion of veterinary prescription drugs" promoted this year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lthough it became possible to handle medicine for animals at veterinary pharmacy with a new medical system, “veterinarian prescription drug system” was also introduced at the same time where pharmacists could sell medicine only when it is prescribed by veterinarians. Currently, 24.5% of all veterinary drugs cannot be sold without veterinary prescription. While veterinarians and veterinary pharmacists are in a sharp conflict, the most controversial drug is DHPPi which is a comprehensive vaccine injected into pets. This was tried to be included in the list of veterinary prescription drug in 2017, but failed because many other organizations opposed. It can be currently purchased at veterinary pharmacies without prescription.
On April 16 2020, howev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sued an amendment related to expansion of prescription animal drugs. In the list, the medicines like comprehensive vaccine DHPPi and cardiothoracic medicine are included which had some objection prior to the discussi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notice, veterinary pharmacies do not handle any more vaccines, and pet guardians must unconditionally visit veterinary hospitals for comprehensive vaccin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side effects can occur and it would threaten the safety of the pets if non-veterinarian administers the medicine because vaccine uses a syringe. It also pointed out that such act is subject to “Veterinarians Act, Article 10 unlicensed medical practice” so the pet guardians can become illegal. Therefore, it is arguing not only vaccines but all the veterinary medicine administered as an injection should be specified as prescription drugs for the safety.
The Veterinary Pharmacy Association, On the other hand, opposed to the amendment insisting 1,000 pet guardians in Korea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67% of them objected to limiting vaccination. In addition, 79.5% of the respondents announced that they had an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administering drugs themselves. The highest reason for this was low cost. Vaccine can be purchased for 5,000 won for each in veterinary pharmacy, but it costs many when treated in veterinary hospitals as service cost is included. In this context, there is a concern about increasing burden on guardians, and actually 54%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ould give up vaccination if the burden increases.
Government officials said the matter about comprehensive vaccine for pets, antibiotics and some other drugs is under discussion and nothing has been decided yet. In addition, we shouldn't be quick to assume reduction of the injection rate, so they insist to be in a neutral position and concentrate only on the risk of side effects that can occur when used without prescription. The Relevant specialized groups would come together soon and make their decision in consultation.
'포스트 > 약업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 어떤 치료제이길래? (0) | 2020.07.03 |
---|---|
‘코로나19’, 전염병 발생 시 의약계가 처할 상황의 전초전 (0) | 2020.05.3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0) | 2020.03.22 |
약국의 키오스크(Kiosk) (0) | 2020.03.03 |
디지털 치료제 (Digital Therapeutics) (0) | 2019.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