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APS



이화13 안현아


매년 324일은 세계 결핵의 날이자, 한국에서는 결핵 예방의 날이다.그 역사는 188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1882 3 24일 독일의 의사이자 세균학자 로베르트 코흐(Heinrich Hermann Robert Koch)에 의해 간균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이라는 미생물이 결핵의 원인이라는 것을 밝혔다.그는 이 발견으로 1905노벨 의학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100년이 지난 1982 3 24,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국제항결핵 및 폐질환연맹(IUATLD) [세계 결핵의 날]을 정하고, 세계보건기구(WHO)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있다.세계 여러 국가들에서는 이 날 결핵을 예방하고자 여러 행사를 진행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한결핵협회와 정부가 1989 324 [7회 세계 결핵의 날]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세계 결핵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하였다. 이후 [결핵예방의 날]이 법정 기념일로 제정됨에 따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의 주최로 2011 3 24 [1회 결핵예방의 날]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개최되고 있다.


 

결핵은 여러 종류의 미코박테륨 (Mycobacterium), 특히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흔하고 치명적인 전염병이다.3군 법정감염병인 결핵은 폐결핵 환자의 침, 비말핵(dropletnuclei, 결핵균이 들어 있는 입자)에 의하여 감염된다. 전염성이 강하고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결핵에 감염되면 기침, 가래, 혈담(피가 섞인 가래), 발열, 발한, 식욕부진 등의 증상으로 체중이 감소되며 심하면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동반된다.결핵은약 85%정도가 폐에 발생하며, 혈류임파관을 따라 몸의 어느 기관에나 전파되어 영향을 줄 수 있다. 결핵은 환자의 기침, 콧물, 가래로부터 공기를 통해 전염된다.현재 세계 인구 1/3이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추정되며 매초 1명 꼴로 새로운 환자가 발생한다.덧붙여, 선진국에서는 더욱 많은 사람들이 결핵에 걸리고 있는데, 이는 면역계면역억제제의 지속적인 남용 또는 AIDS에 의해 위협받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들 중 유병률 1위이다.우리나라가 이렇게 유난히 높은 결핵 유병률을 가진 이유는 따로 있다.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호흡기내과 심윤수 교수는과거 못살던 시절에는 영양부족이 발병의 원인을 제공했지만요즘에는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생활, 다이어트, 과로로 면역력이 약화된 경우가 많아 결핵 유병률 증가의 새로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게다가 청소년들의 경우 과도한 입시스트레스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력의 저하, 불규칙한 식사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되고 생활패턴이 PC방 등 실내생활 위주로 바뀌면서 결핵 감염이 용이한 환경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결핵의 치료는 어렵고, 긴 과정에 여러 항생제가 투입된다. 필요한 경우, 폐의 공기로부터의 접촉을 차단하거나 관리하기도 한다. 결핵 완치를 위해서는 장기간 여러 가지 병용 약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문제는 복용 약 개수가 많은 데다 약제 부작용을 견디기 힘든 고령의 나이에는 약 먹기가 힘들거나 제대로 먹지 않아 복약순응도가 떨어질 수 있다.이 때 꾸준히 먹지 않는다면 다제내성결핵의 위험이 생길 수 있다.하지만 결핵 약제에 대한 내성이 있을 경우 치료 기간이 늘어나고 치료 성공률은 떨어진다고 한다.

 



결핵의 예방은 격리와 백신(보통은 BCG) 접종에 의존한다.BCG 백신의 예방효과는 특히 소아의 속립성 결핵과 결핵성 뇌수막염 등 중증 결핵 발병 예방에 효과적이다.또한 결핵균에 감염되더라도 발병을 최소화하거나 중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BCG접종을 권장하고 있다.또한 만약 2주 이상 기침이 이어진다면 반드시 병원에 찾아가서 결핵검사를 받는 것이 결핵을 예방하는 중요한 방법이다.최근 일부의 연구결과에서 특정 비타민이나 미량원소 등을 먹으면 결핵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지기도 하였으나 아직까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사실은 아니다.

 

*참고문헌

-세계 결핵의 [World Tuberculosis Day]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질병관리본부(KCDC), http://cdc.go.kr/CDC/mobile/CdcKrContentView.jsp?cid=61917&menuIds=HOME001-MNU1130-MNU1890-MNU1891-MNU1896

-https://ko.wikipedia.org/wiki/%EA%B2%B0%ED%95%B5

-Kumar, Vinay; Abbas, Abul K.; Fausto, Nelson; Mitchell, Richard N.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8. Saunders Elsevier. 516~522. ISBN 978-1-4160-2973-1.

-WHO Tuberculosis Factshe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3.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3242059435&code=9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