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APS



· 한국의 병원 약사의 분류
  한국의 병원 약사는 크게 3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병원의 정규 약사로서 대부분의 조제업무를 담당하는 일반약사, 환자의 최적의 치료를 위해 임상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전문약사, 전문약사가 되기 전 해당 전공 분야에서 수련을 하는 전공약사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병원 약사는 반드시 전공약사로서 수련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의 시스템과는 조금 다른 한국의 전문약사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문약사

    전문약사는 치료성과 및 환자의 건강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해당 전문 분야에 통달하고 약물요법에 관해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임상약사로 전문약사제도 운영규정 제3에 정의하고 있습니다.

, 약사로서 질환 전반에 대한 약물요법과 의약품에 대한 전문가적 지식 및 최신 기술 정보, 임상약동학 및 실무 수행 능력을 갖추고 암질환, 심혈관계질환, 내분비질환 등 특정 질환에 대해 이해하여 이에 대한 심층적 약물요법과 약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약사를 말합니다.

 

    한국의 전문약사는 미국의 Board Certified Pharmacist와 유사합니다. 국내 보건의료인력이 세분화되고 전문화되면서 일부 병원들에서 팀 의료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자체적으로 전문약사를 선발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였지만, 점차 그 필요성이 커져 한국병원약사회에서는 제도를 관장할 인증위원회를 구성하고,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여 2010년 제1회 전문약사 자격시험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6회 동안 총 378명의 전문약사를 배출하였습니다.

 

    전문 약사의 분야는 아래 표와 같이 9가지 분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내분비질환약료, 소아약료, 심혈관계질환약료, 영양약료, 장기이식약료, 종양약료, 중환자약료, 감염약료, 의약정보로 구분되며, 현재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약료 전문약사 도입도 고려되고 있습니다.


    전문약사의 업무는 각 병동별 팀의료에서 협진을 통해 약물 처방 자문, 처방 검수, 약물 투약 모니터링, 유해반응 관리, 의약품 정보 제공, 환자 교육 등을 담당하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팀의료가 정착된 병원이 한정적입니다. 하지만 팀의료의 전문성과 장점이 알려지면서 많은 병원들이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문약사가 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문약사가 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직 병원 약사 중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약사가 시험을 통과해야만 전문약사가 될 수 있습니다.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은 임상에 관한 공통 과목을 200시간 이상 이수하고, 전공 분야별 세미나 및 학술대회 등을 통해 전공과목 160시간 이상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만 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최종적으로 한국병원약사회에서 주관하는 시험을 통과하면 해당 약료의 전문약사가 될 수 있습니다.

 

    전문약사 자격 요건을 갖추고 임상 경험을 더 많이 쌓기 위해서 전공약사 과정을 이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국의 전공약사는 전공의와 비슷하게 1년 동안 수련을 받는 약사입니다. 미국의 Pharmacy Residency 제도와 유사합니다. 현재의 6년제 약학대학이 도입되기 이전, 전문약사의 양성을 위해 이론과 임상 실무를 집중적으로 교육하여 임상 전문약사를 길러내기 위해 도입된 제도였습니다. 일반약사보다 임상 사례를 주로 교육받기 때문에 전문약사 업무를 빨리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수련 받는 기간 동안 전공약사들이 해야 하는 공부와 업무의 양이 매우 많아 쉽지 않다고 합니다. 꼭 유의해야할 사항은 전공약사도 전문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국병원약사회의 시험을 통해 인증 받아야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전공약사 수련 과정을 운영하는 병원은 서울대병원(분당 분원 포함),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 서울성모병원, 국립암센터, 세브란스병원으로 총 6곳 입니다. 전공약사 선발 과정은 정규 일반약사 선발과 유사합니다. 다음의 대상 중 하나에 해당하는 약사중에서 병원 내규에 따른 선발전형을 통해 전공약사가 될 수 있습니다.

- 대상 : 약사면허를 소지하고 

1) 인턴약사과정을 수료한 자

2) 약학대학 6년제를 졸업한자

3) 약학대학 4년제를 졸업하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병원의 내규에 따라 전형은 다르지만, 보통 서류전형, 실무진 면접, 임원진 면접, 신체검사를 통해 선발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전공약사 목표는 임상약동학(TDM) 및 임상영양학(TPN) 자문 업무, 약물의 복약지도 등의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무 수련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른 교육과정은 실제 환자의 케이스를 보고 조제, 처방검수, 복약지도를 하는 임상실무와 조제실무가 있고, 전문약료 각 분야의 강의와 세미나를 듣고 연구하여 논문을 발표하는 과정도 포함합니다.

그 밖에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한국병원약사회 홈페이지(www.kshp.or.kr) KNAPS 블로그의 Talk with Pharmacists의 인터뷰내용(knaps.or.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NAPS 문서국 김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