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APS

의료공백 장기화…'처방전 리필제' 대안될까?

 

 최근 전공의 파업으로 발생한 의료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처방전 리필제’(반복 조제 처방전)를 시행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환자가 의사에게 받은 처방전을 사용해 의사의 진료 없이 약국에서 약을 재구매할 수 있는 제도다.

처방전 리필제는 이미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대만, 일본, 덴마크 등의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 신약, 향정신성 의약품, 마약 등 특정 의약품에 대해서는 적용을 제외하고 있다. 보통 1회 발행된 처방전으로 6개월~1년의 유효기간 내에 반복 조제할 수 있다.


 미국은 1951년에 가장 먼저 도입했으며 대상 환자에 대한 규제가 없다. 2016년부터는 기한이 만료된 처방전이라도 지속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서는 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 보험사 급여 목록별 리필 기준이 다양하며, 일부 주에서는 1년 한도 내에서 의사 승인 없이 약사가 판단하여 반복 조제도 가능하다. 영국은 2005년에 도입 후 2009년부터는 전자처방전에 의해서만 허용하고 있다. 의사가 반복 처방 가능한 횟수를 기재한 처방전을 발행하면 약사는 6개월간 반복 조제할 수 있다. 대만은 정부가 지정한 만성질환으로 증상이 안정적인 환자에만 리필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으며, 1개 만성질환과 1개 약제에만 해당한다. 리필 처방전 발행 시 의사에게는 지원금이 제공되고, 환자는 약제에 대한 본인부담금이 면제된다. 일본은 2022년부터 외래진료비 절감을 위해 도입했다. 만성질환 등 '약사에 의한 복약관리 하에 일정 기간 내 처방전 반복 이용이 가능한 환자’대상으로 하며, 향정신성 의약품과 같이 투약량에 한도가 있는 약 또는 습포약은 적용되지 않는다. 처방전 1장당 최대 3회까지 반복 조제할 수 있다. 1회당 투약 기간과 총 투약 기간 등은 의사가 결정한다. 2회째 이후 조제할 때는 첫 조제일을 기준으로 하며, 투약 기간이 끝나는 날 두 번째 처방을 받도록 계산한다. 약사는 두 번째 예상 처방일 전후 7일 이내에 약을 조제해야 한다. 그러나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처방전 리필제에 의한 조제가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에게 진찰을 권장할 수 있다.

 

 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의료비의 효율적 사용이다. 여러 국가의 사례에서, 처방전 리필제는 빈번한 외래 방문을 줄이고 의료비용을 절감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동일한 처방을 반복해서 받아야 하는 만성질환자의 경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자 하는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장기처방으로 인한 복약이행도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처방전 리필제 하에 약사가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고 복약 상담을 함으로써 약물 치료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약물 과잉 복용의 가능성 및 의사가 환자의 질병 진행 상황을 놓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의료기관의 수입이 감소됨에 따라 의료 서비스의 질이 저하될 수도 있다. 처방전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약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약사는 환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치료 전반을 파악해야 하므로, 약사 교육 프로그램 및 의사와의 의사소통 체계 개발도 필수적이다.

 

 지난 2001년 건강보험 재정 안정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국내에도 제도 도입을 주장하는 의견이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의료비 감소 방안으로 언급됐으나, 아직까지는 도입되지 않은 상황이다. 의사의 진료 없이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의료사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도의 도입은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그러나 최근 의료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처방전 리필제가 다시 대두되었으나, 정부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렇듯 국내에도 처방전 리필제가 도입된다면 의사 대신 약사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약사의 책임감과 환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처방전 리필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의사와 약사 간 찬반 입장이 크게 엇갈리는 제도이므로 소통과 화합이 필요하다.

 

 

"Protracted Medical Gaps... Could 'Prescription Refill Systems' be an Alternative?"

 

As the medical gap caused by the recent strike of interns and residents has been prolonged, voices are increasing to implement a ‘refill prescription’ (repeated prescription) as an alternative. It is a system that allows patients to repurchase drugs at pharmacies without a doctor's treatment, using the prescription they previously received from a doctor. Refill prescription is already in oper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rance, Australia, Taiwan, Japan, and Denmark. Most of the countries exclude the application of specific drugs such as new drugs, psychoactive drugs, and narcotics. Usually, with once-issued prescription, drugs can be repeatedly prepared within the validity period of 6 months to 1 year.

 

The United States was the first to introduce it in 1951, and there are no regulations on target patients. From 2016, preparations has been allowed for patients who need continuous treatment, even if the prescription has expired. Refill standards vary by state and insurance company benefit list, and in some states, pharmacists can judge and repeat preparations within one year without doctor's approval.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5, the United Kingdom has allowed only electronic prescriptions since 2009. If a doctor issues a prescription stating the number of times it can be repeatedly prescribed, a pharmacist can fill the prescription repeatedly for 6 months. Taiwan can only issue refill prescriptions for patients with a chronic diseas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stable symptoms, and only for one chronic disease and one drug. When issuing refill prescriptions, doctors are provided with subsidies, and patients are exempted from out-of-pocket expenses for drugs. Japan introduced it in 2022 to reduce outpatient treatment costs. It targets 'patients who can repeatedly use the prescriptio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under medication management by a pharmacist', such as chronic diseases, and drugs with a limit on dosages such as psychotropic drugs or wet medicine are not applied. Each prescription can be repeatedly prepared up to 3 times. The administration period per prescription and total administration period are determined by the doctor. When preparing after the second time, the first aid is based on, and a second prescription is calculated on the day the administration period ends. Pharmacists must prepare the drug within 7 days before and after the second expected prescription date. However, considering the patient's condition, if it is deemed inappropriate to prepare a refill prescription, they can recommend examination to a doctor.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system is the efficient use of medical expenses. In several countries, the refill prescription has greatly helped reduce frequent outpatient visits and cutting down on medical costs.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who need to receive the same prescriptions repeatedly, it can meet the need to save time and money. It's also noteworthy that it can address the issue of decreased medication adherence due to long-term prescriptions. Under the refill prescription, pharmacists can improve the quality of drug treatment by checking the patient's condition and providing medication counseling.

 

However, there are also voices of concern.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dose and a risk that doctors may miss the patient's disease progression. In additio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may deteriorate as income of medical institutions decreases. The role of pharmacists is very important to properly manage prescriptions. Since pharmacists must continuously monitor patients and understand the overall treatment, it is also essential to develop pharmacist education programs and communication systems with doctors.

 

In 2001, there were opinion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as part of the comprehensive measures to stabilize the finances of health insurance, and it has been continuously mentioned as a way to reduce medical expenses, bu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patient's condition cannot be accurately known without medical treatment.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introduction of refill prescription should be careful because it can cause medical accidents. Recently, as the medical gap has prolonged, refill prescription has emerged once again.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government is not reviewing it in detail. As such, if refill prescription is introduced in Korea, pharmacists' responsibility and trust relationships with patients will become more important because pharmacists must closely monitor the patient's condition instead of doct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efill prescrip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communicate and harmonize with doctors and pharmacists as it is a system in which the pros and cons are greatly divided.

 

 

<출처>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248984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40521315812882

https://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01063&REFERER=NP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22198?sid=101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779

최상은, Social Pharmacy Perspectives_반복조제처방전(refill prescription) 제도 동향, 약학정보원